메타버스 (76) 썸네일형 리스트형 기아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3개 과정 강의 완료 - 메타버스, 블록체인, NFT 기아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T) 3개 과정을 마무리했습니다. 1개 과정에 2일씩 할당이 되었고, 1주에 1개 주제로 3주를 했으니 총 6일 동안 강의를 진행했습니다. 체력적으로 힘들고, 각 주제를 2일씩 진행하기 위해 새로운 경험과 시도를 많이 했습니다. 다행스럽게 강의 평가는 높은 수준으로 나왔네요. 강의 명칭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 로그인부터 시작하는 나만의 메타버스 제작 실습 - 블록체인과의 첫 만남(토큰 제작 실습) - 이제 나도 NFT 크리에이터! [NFT 사례/실습] https://www.youtube.com/watch?v=Pg_yviqclE4 기업교육은 직무연관성, 직무적합성에 맞게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재테크' '투자' 이런 관점 보다는 조직에 응용할 수 있는.. 블록체인, NFT, 메타버스 오프라인 2일 분량의 강의 교안 완료 모 기업의 요청으로 3월부터 블록체인, NFT, 메타버스 관련 교육을 오프라인으로 각각 2일씩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기존에는 최대 8시간으로 강의를 했었는데, 2일 분량은 처음입니다. 이를 위해 교안을 대대적으로 개편했습니다. 2일 동안 전달식으로 강의를 진행하는 것은 교육의 효과도 떨어지고 강사와 수강생에게 모두 어려운 일입니다. 그래서 이론+실습+그룹활동 중심으로 재편했습니다. 다음은 각 주제별로 들어가는 내용입니다. 2일 동안 총 14~16시간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각 주제별로 짧으면 2시간부터 가능하고, 3개의 주제를 혼합하면 3일~4일까지 가능할 것 같네요. 이렇게 강의를 진행하려면 반드시 컴퓨터 또는 노트북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이어야 합니다. 인터넷도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 한림대학교 교수자 대상 메타버스(ZEP) 활용 교수법 특강 한림대학교에서 교수자 대상 메타버스(ZEP) 활용 교수법 특강을 진행했습니다. 수강신청 기간이라서 많은 분들이 참석하지는 못하셨지만, 소수정예로 컨설팅 하듯이 진행하여 의미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강의는 메타버스 중에서 왜 젭을 선택했는지, 젭이 어떤 특성이 있는지, 대학교에서 LMS와 젭을 어떻게 연계하여 활용하는 것이 의미가 있는지 등을 설명드렸습니다. 이후에 젭 월드에 접속하여 사용법을 익히고, 젭 맵메이커에 접속하여 직접 월드를 제작해 보았습니다. 월드를 만들 때 주의할 점, 월드를 수업과 연계하여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등의 아이디어도 드렸습니다. 젭에서 제공하는 오브젝트 설정 기능을 활용하면 게임화 수업을 간편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이러한 내용도 월드를 제작하면서 연계하여 설명드렸습니다. 다.. 고려대학교 입학사정관 대상 메타버스 특강 실시 고려대학교 입학사정관을 대상으로 한 메타버스 특강을 실시했습니다. 대학교 현장에서 메타버스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소개를 중심으로 진행했습니다. 메타버스의 개념과 현상, 그리고 디지털 공간으로써의 메타버스의 특징을 설명했습니다. 이후 활용 목적 중심의 메타버스의 분류를 설명한 후 대학교에서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메타버스를 구현하려면 어떤 것을 고려하면 좋을지 설명드렸습니다. 현재 메타버스라고 하는 키워드는 인기가 식어가고 있는 키워드입니다. 메타버스 키워드는 사라져도 메타버스를 구성하던 각각의 요소와 서비스는 그 나름의 특성에 맞춰 발전할 것입니다. 메타버스 키워드에 현혹되지 않고 실무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중심으로 설명드렸습니다. 특히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행사나 교육에 있어서는 로블.. 인천디자인교육센터 메타버스 디자인 콘텐츠의 이해 강의 2회차 실시(국비지원 과정) 인천디자인교육센터에서 실시한 메타버스 디자인 콘텐츠의 이해 2회차 강의를 마무리하였습니다. 국비지원과정으로 2일 간 저녁 시간대(19:00 ~ 22:00)에 진행했습니다. 저녁 강의라 몸은 힘들었지만 강의평가가 좋게 나와 힘이 나네요. 1회차 때에는 주로 강의 위주로 진행했습니다. 메타버스 개념 및 특징, 메타버스의 조작적 정의, 메타버스 산업구조, 다양한 메타버스의 사례, 활용 목적을 중심으로 한 메타버스 분류 체계 등을 설명했습니다. 특히 1회차 때 메타버스 산업구조 설명하면서 암호화폐가 메타버스에서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를 설명하였고, 이를 실습하기 위해 월렛오브사토시 앱을 활용한 비트코인 전송 실습을 했습니다. 월렛오브사토시는 라이트닝 네트워크 기반의 비트코인 전송 앱입니다. 라이트닝 네트워크는.. 강원권역 대학원격교육지원사업 성과공유회 메타버스 특강 실시 강원권역 대학원격교육지원사업 성과공유회 때 메타버스 특강을 실시했습니다. 주제는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입니다. 메타버스의 인기가 예전만 못하죠. 그렇다고 해서 메타버스의 큰 흐름이 없어지지는 않을 것입니다. 현업에서 현실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메타버스의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서는 메타버스에 대한 분류를 다시 해야한다고 저는 주장하고 있습니다. ASF 재단이 분류하는 4가지 메타버스 유형은 2007년도 기준입니다. 그 때 당시 기준으로 보면 나름 혁신적인 분류겠지만, 2023년 기준으로 보면 약간은 의아한 분류입니다. 강의에서는 활용 목적에 따라 메타버스를 분류하고 그 분류 속에서 활용할 만한 몇 가지 사례를 체험하였습니다. 수강생들의 스마트폰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4가지 메타버스를 소개하였습니다. 레디플레이.. 동대부고 메타버스 특강 - 누구나 할 수 있는 '손쉽게 만드는 메타버스 ZEP' 완료 예전 동부교육지원청 강의를 수강하셨던 동대부고 선생님이 강의 의뢰를 하셨습니다. 동대부고 선생님들 대상으로 메타버스 강의를 핵심 중심으로 요청하셔서 짧게 1시간 동안 젭 체험과 월드 제작 방법을 설명 드렸습니다. 워낙 짧은 시간이라 강의 내용이 제대로 전달 되었는지 모르겠네요. K-12 영역에서 메타버스를 활용하는 데에는 크게 3가지 효능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1. 학생들과 상호작용 할 수 있는 공간의 활용 2. 특정 주제를 학습할 수 있는 탐구학습 공간 디자인 3. 자유로운 학습커뮤니티 구성 메타버스가 교육적으로 의미가 있으려면 이 3가지 범주에서 고민해 보면 좋겠다는 생각입니다. 특히 3D형 메타버스가 아니라 젭과 같은 2D형 메타버스로 교육적 성과를 내려면, 그리고 의사소통 기반 메타버스와 같은 형.. 경운대 학생 대상 메타버스 특강 2회차 완료 경운대 학생 대상으로 메타버스 특강 2회차를 비대면으로 완료했습니다. 오전에 메타버스 개요 및 사례를 설명했고, 오후에는 활용 목적에 따른 메타버스를 실제 데모를 보여주면서 체험하도록 하였습니다. 메타버스에 대한 관심이 기업에서 공공기관으로 넘어갔다가 이제는 대학으로 전이된 것 같습니다. 영상과 글로만 보던 메타버스를 실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것 같네요. 메타버스 분류에 가장 많이 인용되는 ASF의 4가지 분류는 2007년도 기준입니다. 2022년도 이제 얼마 남지 않은 이 시점에 메타버스를 2007년 기준으로 분류하고 살펴보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활용 목적에 따른 메타버스를 6가지로 분류하고, 각 메타버스의 종류와 특징, 그리고 장단점을 개괄적으로 설명드.. 동부교육지원청 중등교사 대상 인공지능(AI) 기반 융합교육 기초 과정 자율연수 강의 완료 동부교육지원청에서 추진한 중등 인공지능(AI) 기반 융합교육 기초과정 자율연수 강의를 완료했습니다. 주제는 메타버스 개요와 젭(zep) 월드 제작입니다. 메타버스가 무엇이며, 어떤 종류가 있는지를 활용 목적에 따라 분류하고 설명하였습니다. 그리고 학교에서 활용하기 가장 수월한 젭 월드를 체험하고, 맵을 어떻게 제작할 수 있는지 간략하게 설명드렸습니다. 학교에서 교육용으로 메타버스를 활용하기 가장 쉬운 도구가 바로 젭(zep)입니다. 저는 젭을 2D형 의사소통 기반 메타버스로 분류합니다. 젭은 의사소통을 위해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채팅, 화상대화 등의 기능이 내장되어 있습니다. 메타버스 플랫폼 답게 원하는 월드를 맵에디터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도 있고, 다양한 용도의 공간을 구성하여 연결할 수도 있습니다. .. S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생 대상 실감형 콘텐츠와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 특강 완료 S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생을 대상으로 시감형 콘텐츠와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 특강을 완료했습니다. 지인의 소개로 대학원 수업 중 특강을 1회차 하게되었습니다. 저는 현업에 있기 때문에 아이디어를 실제화해야 하는 위치에 있습니다. 그렇기에 메타버스에 대한 무한긍정의 관점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현실적으로 가능한 것 중심으로 약간은 뾰족하게 설명을 드릴 수밖에 없습니다. 저는 최근에 메타버스에 대한 생각과 강의의 패턴을 바꾸고 있습니다. 메타버스라고 하는 키워드가 기존에 존재했던 유사 영역의 키워드를 모두 삼켜버렸기 때문에 현업에 적용하기 더 어려워졌다고 생각합니다. 오래 전부터 이미 AR/VR을 활용한 실감형 콘텐츠는 존재해왔고, 오래 전부터 아바타를 바꾸면서 자신의 정체성화 하는 것도 이루어져 왔습니다.. 이전 1 2 3 4 ···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