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활동&성과

팬케이크스왑(PancakeSwap)을 활용한 디파이(De-Fi) 스테이킹 절차

 

탈중앙화 이슈가 매우 뜨겁습니다. 코인경제에 대한 이야기도 많이 나오지만 제가 직접 해보지 않아 가늠이 잘 안되더군요. 글과 영상으로 코인, 탈중앙화, 블록체인, NFT, 디파이 등을 배웠지 손으로 경험하지 않으니 실감이 안왔습니다. 그래서 탈중앙화 경험을 계속해서 하고 있습니다. 

가장 먼저 NFT를 구입했고, 이번에는 디파이 스테이킹이라고 하는 것을 경험해 보았습니다. 디파이(De-Fi)는 탈중앙화 금융입니다. 이것이 무엇인지는 다른 검색자료를 사용하여 이해해 보시기 바랍니다. 저는 디파이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은 생략하겠습니다.  

코인으로 때돈을 벌었다는 기사내용은 전혀 와닿지 않았습니다. 제가 그럴 가능성도 거의 없다고 생각하고 그러한 삶을 살기 위해 코인거래소 시세창만 보기도 싫습니다. 이보다는 코인경제가 앞으로 어떻게 세상을 바꿀 것인지, 이러닝/에듀테크 영역에는 어떤 변화가 생길 것인지가 더 궁금했습니다. 직접 손으로 경험하면서 느끼고 싶었습니다. 

스테이킹은 일종의 코인예금이라고 보면 됩니다. 코인을 맡겨놓고 이자를 받는 것입니다. 요즘 핫한 디앱(Dapp)이 팬케이크스왑인 것 같더라고요. 그래서 저도 팬케이크스왑을 활용하여 스테이킹을 해보았습니다. 준비물은 다음과 같습니다. 

<준비물>
1. 메타마스크 코인지갑
2. 업비트 계정 (+ 케이뱅크)
3. 바이낸스 계정
4. 구글OTP > 바이낸스 연동
5. 팬케이크스왑 > 스테이킹 

전체적인 절차를 텍스트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업비트 - 리플 구입 - 바이낸스 출금 - 바이낸스 지갑 - 리플/BNB 교환 - 메타마스크 출금 - 팬케이크스왑 접속 - BNB/케이크 교환 - Syrup Pools > 케이크 스테이킹 

블록체인 기반으로 동작되는 디앱들이기 때문에 거래가 진행되는 중간중간 시간이 소요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편집하기 귀찮아서 그냥 녹화한 전체 영상을 업로드했습니다. 
기다리는 시간은 스킵하고 넘어가셔도 되겠습니다.


준비물은 어떤 것이 있는지, 어떤 절차로 진행되는지 자세한 내용은 영상을 통해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oagyPPZOUwo